1 |
- |
21 |
클러스터 외부스피커 (+) |
2 |
조명(-) 출력 |
22 |
클러스터 외부스피커 (-) |
3 |
래오스탯 스위치 다운 |
23 |
이모빌라이저 입력 |
4 |
래오스탯 스위치 업 |
24 |
P단 출력(+) |
5 |
- |
25 |
R단 출력(+) |
6 |
오일 압력 스위치 입력(-) |
26 |
N단 출력(+) |
7 |
워셔 레벨 입력(-) |
27 |
D단 출력(+) |
8 |
ALT 입력(-) |
28 |
S단 출력(+) |
9 |
LDWS 입력 |
29 |
멀티미디어 CAN(로우) |
10 |
드라이브 모드 스위치 입력 |
30 |
멀티미디어 CAN(하이) |
11 |
DETENT 출력 |
31 |
- |
12 |
액티브 ECO 스위치 입력 |
32 |
샤시 CAN(하이) |
13 |
- |
33 |
샤시 CAN(로우) |
14 |
연료 센더 입력(+) |
34 |
트립컴퓨터 스위치1 입력(+) |
15 |
- |
35 |
트립컴퓨터 스위치2 입력(+) |
16 |
연료 센더 입력(-) |
36 |
트립컴퓨터 스위치 입력(-) |
17 |
차량속도 출력 |
37 |
접지 (신호) |
18 |
- |
38 |
- |
19 |
에어백 전원 입력 |
39 |
IGN1 |
20 |
미등 |
40 |
B+ |
핀번호 |
커넥터 A |
커넥터 B |
1 |
뒤 운전석 스피커 (+) |
멀티미디어 CAN (하이) |
2 |
앞 운전석 스피커 (+) |
- |
3 |
앞 동승석 스피커 (+) |
- |
4 |
뒤 동승석 스피커 (+) |
스티어링 리모콘 |
5 |
후방 카메라 전원_접지 |
- |
6 |
후방 카메라 전원 |
IGN |
7 |
- |
AUX 잭_비디오 |
8 |
조명 (+) |
AUX 잭_R |
9 |
후진 신호 |
AUX 잭_접지 |
10 |
뒤 운전석 스피커 (-) |
마이크 (+) |
11 |
앞 운전석 스피커 (-) |
ACC |
12 |
앞 동승석 스피커 (-) |
BAT (+) |
13 |
뒤 동승석 스피커 (-) |
멀티미디어 CAN (로우) |
14 |
후방 카메라 비디오 접지 |
오토 라이트 |
15 |
후방 카메라 비디오 |
- |
16 |
- |
차속 신호 |
17 |
조명 (-) |
스티어링 리모콘 접지 |
18 |
안테나 전원 |
- |
19 |
|
AUX 잭_비디오 접지 |
20 |
AUX 잭_DETECT | |
21 |
AUX 잭_L | |
22 |
마이크 (-) | |
23 |
접지 | |
24 |
접지 |
핀번호 |
커넥터 A |
커넥터 B |
커넥터 C |
1 |
- |
멀티미디어-CAN (하이) |
파워트레인-CAN (로우) |
2 |
- |
- |
파워트레인-CAN (하이) |
3 |
- |
- |
- |
4 |
- |
스티어링 리모콘 |
- |
5 |
일반 앰프 (SPDIF 쉴드 접지) |
- |
- |
6 |
일반 앰프 (SPDIF (+)) |
실내 감광 미러 (키패드 신호) |
- |
7 |
- |
AUX 잭 (비디오) |
- |
8 |
조명 (+) |
AUX 잭 (R) |
- |
9 |
후진등 신호 |
AUX 잭 (오디오 쉴드) |
- |
10 |
- |
마이크 (+) |
- |
11 |
- |
배터리 (+) |
바디-CAN (하이) |
12 |
- |
배터리 (+) |
바디-CAN (로우) |
13 |
- |
멀티미디어-CAN (로우) |
- |
14 |
IGN 1 (+) |
오토 라이트 |
에어백 모듈 (충돌 신호) |
15 |
일반 앰프 (SPDIF (-)) |
- |
- |
16 |
- |
차속 신호 |
앰프 (네비게이션 사운드 (-)) |
17 |
조명 (-) |
실내 감광 미러 (키패드 접지) |
앰프 (네비게이션 사운드 (+)) |
18 |
글라스 안테나 전원 (+) |
ACC |
- |
19 |
|
AUX 잭 (비디오 쉴드) |
- |
20 |
AUX 잭 (DET) |
- | |
21 |
AUX 잭 (L) |
후방 카메라 접지 | |
22 |
마이크 (-) |
후방 카메라 비디오 접 | |
23 |
접지 |
지후방 카메라 출력 | |
24 |
접지 |
후방 카메라 전원 |
핀 번호 |
명칭 |
1 |
Battery (+) |
2 |
IGN |
3 |
CAN 통신 Low |
4 |
CAN 통신 High |
5 |
- |
6 |
접지 |
블록 다이아그램
개요 |
차선이탈 경보장치(LDWS)는 카메라 영상과 차량 신호정보(CAN통신)를 이용하여 3가지의 기능을 지원한다.
1. |
차선 이탈 경보시스템(LDWS, Lane Departure Warning System) : 전방의 차선을 인식하여 차선 이탈 위험이 예측되는 경우 경보 기능 수행. |
2. |
차량 추돌 경보 시스템(FCW, Forward Collision Warning) : 주행 차량 전방의 상황을 판단하여 추돌 위험시 경보 기능 수행. |
3. |
상향등 자동 제어(HBA, High Beam Assist) : 주행 차량 전방의 선행차량 및 대형차량의 램프 광원을 인지하여 상향등의 On/Off를 제어하는 시스템.
차선이탈 경보장치는 고속 CAN통신으로 정보를 전달하며 아래 유닛들로 구성된다. |
차선이탈 경보장치 유닛
카메라 유닛이 포함되어 있으며 입력된 카메라 영상신호를 연산해 차선인식 및 분석, 선행 차량의 광원 인지, 주행 차량 전방의 상황 인식 및 분석하여 경보한다.
아래 절차는 영상처리를 통한 차선인식 과정이다.
도로영상 입력 → 차선을 강조하는 필터링 연산 → 차선 Candidate point(차선으로 예상되는 구성 포인트) 추출 → Candidate poin를 이용하여 차선 인식
HID 헤드 램프 |
1. |
전구 (Bulb)
|
2. |
이그나이터(Ignitor) (A)
밸러스트(Ballast)로 부터 전류를 받고 모든 환경에서 아크 라이트 소스를 점등하기 위해 승압시키는 전자기 변압기
|
3. |
밸러스트 (Ballast) (A)
|
4. |
바이 펑션 램프
|
5. |
스태틱 밴딩 램프(SBL, Static Bending Lamp)
|
6. |
상향등 자동 제어(HBA, High Beam Assist)
|
브레이크
항 목 |
제 원 | ||||||||||
마스터 실린더
|
싱글 NON EPB : Φ22.22mm / EPB : Φ23.81mm 45±1mm 장착 | ||||||||||
브레이크 부스터
|
11" 싱글 9:1 | ||||||||||
프런트 브레이크 (디스크) |
|||||||||||
|
벤틸레이티드 디스크 NU2.0,L2.0 : 280mm / THETA2.4 : 305mm / EPB : 320mm NU2.0,L2.0 : 26mm / THETA2.4 : 25mm / EPB : 28mm 싱글 피스톤 | ||||||||||
리어 브레이크 (디스크)
|
솔리드 디스크 NU2.0,LPI2.0 : 262mm / THETA2.4 : 284mm / EPB : 284mm 10mm 싱글 피스톤 | ||||||||||
주차 브레이크형식드럼 직경
|
DIH(Drum in hat) Ø168mm |
구성부품 |
1. 전조등 (로우) 2. 전조등 (로우/하이 BI-Function) 3. 전조등 (하이) 4. 스태틱 밴딩 라이트(SBL) 5. 방향지시등, 차폭등 |
6. 차폭등 7. 안개등 또는 차폭등 & 주간 주행 라이트(DRL) 8. 방향지시등(도어 미러) 9. 화장등 10. 맵 램프 |
1. 미등 2. 미등/정지등 3. 후진등 4. 방향지시등 |
5. 정지등 6. 보조 정지등 7. 번호판등 |
바디 컨트롤 모듈(BCM) 기능
NO |
BCM 기능 |
내용 |
1 |
도난방지 기능 (Burglar Alarm) |
차량 경계모드, 자동 잠금 타이머(Autolock Timer)에 의한 경계모드 진입 및 도난 경보 기능 |
2 |
서리 제거 기능 (Defroster) |
뒷 유리 열선 스위치 (Defogger SW)에 의한 김 서림 방지 기능과 서리제거 기능(Defogger&Deicer)을 출력하는 기능 |
3 |
스티어링 휠 열선 제어 기능 (Heated Steering Wheel) |
스티어링 휠 열선 스위치에 의한 스티어링 휠 열선 기능 |
4 |
ATM 제어 기능 |
P단에서의 변속기 레버 잠김을 제어 기능 |
5 |
미등 기능 (Tail Lamp) |
미등 On/Off 제어 및 미등 On 상태에서 운전자가 스위치 Off를 잊었을 경우 자동으로 Off 상태로 제어하는 기능 |
6 |
전조등 제어 기능 (H/Lamp Low/High) |
전조등 스위치 (다기능 스위치) 조작에 따른 상향등/ 하향등을 제어하는 기능 |
7 |
웰컴 및 에스코트 기능 (Welcom/Escort) |
차량 잠금(Lock) 상태에서 잠금해제(Unlock) 신호 감지에 의한 전조등 및 미등을 15초간 ON 하는 웰컴 조명 기능 |
전조등 On 상태에서 전원 Off시 에스코트 조명을 제어 한다 | ||
- 전조등 ON 상태에서 IGN OFF 시 5분 동안 전조등 출력을 유지한다 | ||
- 20분 ON 중에 운전석 도어를 열고 닫으면 15초 동안만 ON 유지한다 | ||
- 전조등 ON 유지 중에 , 무선 리모컨 잠금 버튼을 2회 누르면 전조등을 OFF한다 | ||
8 |
오토라이트 기능 (Auto Light) |
전조등 스위치를 Auto 상태에 두면 주/야간에 따라 미등과 전조등을 제어하는 기능 |
9 |
패싱 기능 제어 (Passing ) |
전조등 패싱 스위치(Passing Switch)에 의한 패싱 제어 기능 |
10 |
상향등 자동 제어 기능 (HBA) |
전조등 스위치가 Auto 상태일 때 마주 오는 상대차량의 상태에 따라 상향 전조등 출력을 자동으로 ON/OFF 제어하는 기능 |
11 |
전/후방 안개등 제어 (Front/Rear Fog Lamp) |
전/후방 안개등 스위치 조작에 따른 안개등 제어 기능 |
12 |
AV기기 미등 제어 (AV Tail) |
조도 조건에 의한 AV기기(AVN 모니터 등)의 램프 밝기를 제어하는 기능 |
13 |
DRL 램프 제어 |
시동 시 조건에 따라 DRL 램프를 제어하는 기능 |
14 |
스테틱 밴딩 램프 제어 (Static Bending) |
차량 핸들 각도에 따라 전조등 어셈블리에 내장된 스테틱 밴딩 램프(Static Bending Lamp)를 제어하는 기능 |
15 |
플래셔 제어 (Flasher) |
패닉 경보 (Panic Alarm), 블루링크 경보 (MTS Alarm), 도난방지 경보 (Burglar Alarm) 및 원격시동 시 플래셔 램프를 출력하는 기능 |
16 |
실내등 제어 (Room Lamp ) |
차량 전원 상태 및 도어 개폐 상태에 따라 실내등 On/Off를 제어하는 기능 |
17 |
풋 램프 제어 (Foot Lamp) |
전원 조건 및 변속단 P단 조건에 의한 풋 램프 출력 기능 |
18 |
Key Hole 조명 (Key Hole Illumination) |
전원 조건, 도어 열림/닫힘 상태 및 경계모드에 따라 Key Hole 조명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 |
19 |
실외 미러 (Outside Mirror) |
미러 폴딩/언폴딩을 제어 하는 기능 및 실외 미러 아래쪽에 위치한 퍼들램프(Puddle Lamp)를 제어하는 기능 |
20 |
MTS 제어 |
MTS 유닛이 발신하는 신호에 대하여 도어 잠금/잠금해제 / 원격시동/패닉 (Lock/Unlock/Remote Start/Panic) 기능의 출력을 제어 |
21 |
패닉 경보 제어 (Panic Alarm) |
패닉 (Painc) 신호에 따른 경음기 및 플래셔 램프 (Horn & Flasher) 출력 기능 |
22 |
원격시동 제어 (Remote Start) |
원격 시동에 의한 차량의 플래셔 램프 출력 기능 및 타 기능 금지를 제어하는 기능 |
23 |
트렁크 제어 (Trunk) |
트렁크 스위치 입력에 따른 트렁크 잠금해제 (Trunk Release) 출력 기능 및 경보음 (Buzzer) 출력 기능 |
24 |
시트벨트 리마인더 (SBR) |
시트 안전 벨트 착용 유무에 따른 경고 및 미착용 상태에서의 주행시에 패턴 진입 제어 |
25 |
키 작동 경보 (Key Operated Warning) |
ACC On 상태에서 운전석 도어 열림에 따른 경보 출력 기능 |
26 |
주차 브레이크 경보 (Parking Brake Warning) |
IGN ON상태 이고 주차 브레이크 ON 상태에서 차량 속도가 5km/h 초과시 경고음을 출력하는 기능 |
27 |
선루프 열림 경보 (Sun Roof Open Warning) |
선루프가 열린 상태에서 키를 탈거하고 하차하는 경우, 경고를 출력 기능 |
28 |
전후방 주차 경보 (PAS Warning) |
기어 입력(R 또는 D)시 주차보조 센서 (PAS 센서)를 통한 전후방 장애물 감지 경보 기능 |
29 |
와이퍼 로우/하이 제어 (Front Wiper Low/High) |
와이퍼 스위치 신호를 B-CAN을 통해 수신한 BCM은 LIN 통신 라인을 이용해 와이퍼 모터(유닛 내장)에 전달한다. |
30 |
와이퍼 Mist 제어 (Front Wiper Mist ) | |
31 |
와이퍼 Auto 제어 (Front Wiper Auto) | |
32 |
앞 유리 와이퍼/워셔 (Front Wiper Washer) | |
33 |
사용자 옵션 모드 |
에스코트 기능, PAS 경보음 볼륨 조절등, 사용자가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기능 |
(USM) | ||
34 |
CAN 통신 |
Low Speed CAN, High Speed CAN 적용 |
35 |
LIN 통신 |
레인센서, PAS 센서 |
핀번호 |
커넥터 A |
커넥터 B |
커넥터 C |
1 |
룸 램프 |
멀티 펑션 스위치 접지 |
트렁크 오픈 스위치 |
2 |
IGN 2_열선 핸들 전원 |
2열 좌측 안전 벨트 표시등 |
브레이크 스위치 |
3 |
열선 핸들 |
오토라이트 전원 |
안개등 스위치 |
4 |
풋 램프 릴레이 |
C CAN 로우 |
헤드램프 상향등 스위치 |
5 |
세이프티 파워 윈도우 |
C CAN 하이 |
라이트 스위치 |
6 |
안개등 릴레이 |
와이퍼 INT 스위치 |
와이퍼 스위치 |
7 |
와이퍼 로우 릴레이 신호 |
B CAN 하이 |
와이퍼 로우 스위치 |
8 |
키 홀 조명 |
B CAN 로우 |
워셔액 스위치 |
9 |
- |
오토 라이트 접지 |
열선 핸들 NTC 센서 |
10 |
와이퍼 하이 릴레이 신호 |
RPAS (LIN 통신) |
IGN 1 |
11 |
커터시 램프 우측 |
레인센서 (LIN 통신) |
B + |
12 |
커터시 램프 좌측 |
후진 신호 입력 |
GND |
13 |
GND |
- |
열선핸들 스위치 |
14 |
GND |
진단 통신 (K 라인) |
키 인 스위치 |
15 |
퍼들 램프 |
PAS 신호(옵션) |
리어 디포그 스위치 |
16 |
미러 폴딩 릴레이 |
에어백 신호 |
RPAS OFF 스위치 |
17 |
미러 언폴딩 릴레이 |
|
키인터락 스위치 |
18 |
시큐리티 표시등 |
선루프 오픈 스위치 | |
19 |
RPAS OFF스위치 표시등 |
블라인드 포지션 로우 | |
20 |
동승석 시트 벨트 표시등 |
오토 라이트 센서 | |
21 |
- |
ACC | |
22 |
2열 우측 안전 벨트 표시등 |
IGN 2 | |
23 |
열선 핸들 표시등 |
| |
24 |
2열 센터 안전 벨트 표시등 | ||
25 |
키 솔레노이드 | ||
26 |
ATM 솔레노이드 |
리어 커튼 스위치의 원터치 조작에 의해 커튼이 AUTO UP 또는 AUTO DOWN 됨으로써 실내측으로 부터 후석의 리어 글래스를 가려주어 승차자를 직사광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가진다.
주요 특징
– |
스위치 원터치 동작에 의해 커튼이 오토 업/다운 됨으로서 조작 편의성 증대됨. |
– |
후진시 자동으로 커튼을 다운시키고 주차시 자동으로 복귀됨. |
– |
후진 하강 동작 후 주행시 (20Km 이상) 차속에 따라 자동으로 복귀됨. |
레인센서
우측 다기능 스위치로부터 “AUTO” 스위치 신호가 입력 되면, 와이퍼 모터 구동 제어를 위해 앞 유리의 상단 내면부에 설치된 레인 센서 & 유닛에서 강우량 감지한다.
운전자가 와이퍼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측정된 강우량에 따라 와이퍼 작동 시간 및 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시스템이다.
기능 및 작동 설명 |
기본 원리
• |
강우량 감지
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빛(beam)이 윈드 쉴드의 외부 표면에서 전반사가 되어 수광(photo) 다이오드로 돌아온다. 이 때, 윈드 쉴드의 외부 표면에 물이 있으면, 빔(beam)은 광학 분리가 이루어지며 잔류한 빛의 강도가 수광 다이오드에서 측정 된다. 윈드 쉴드에 물이 있다는 것은 beam 이 전반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그 손실된 빛의 강도가 글라스 표면의 젖음 정도를 나타낸다. |
레인 센서는 레인 센서 감지용 2개의 발광 다이오드와 2개의 수광 다이오드 그리고 브라켓으로 구성된다. |
작동 제어
• |
레인 센서는 우측 다기능 스위치로부터 “AUTO” 신호가 입력되면, 빗물을 감지 하여 와이퍼 모터를 제어 한다. |
간섭 영향
아래의 조건의 주변 간섭에 따라 레인 센서가 오작동 할 수 있다.
• |
측정 표면 및 모든 빛의 경로상 표면(발광과 수광 다이오드 표면, 광학 섬유(Optics fiber),브라켓, 윈드 쉴드의 접합부 유리 표면)의 먼지는 수광되는 측정 신호를 약하게 한다. |
• |
윈드 쉴드와 브라켓의 움직임 |
• |
진동에 의한 브라켓의 움직임 |
• |
손상된 와이퍼 블레이드 |
레인 센서가 작동 되지 않거나 이상 작동 시, 운전자에 의한 수동 와이퍼 스위치 조작이 우선시 된다. |
자동 작동
레인 센서 작동 상태 |
작동 모드 |
작동 상태 |
Direct 모드 |
와이퍼 스위치 “AUTO” 시, 레인 센서가 Dry windshield를 감지 했을 때의 기본 작동 상태 이다. 이 상태로부터 측정 되는 빗물의 양과 시간에 따라 레인 센서는 와이퍼 작동 모드를 판정 한다. |
간헐 모드 |
두 번 이상 0.5초 ~ 5 초 사이의 휴지 시간을 가지고 연속적으로 와이퍼 작동이 이루어지면 레인 센서는 간헐 모드로 들어 간다. |
Low 스피드 |
Low 스피드에서 연속 동작 한다. |
High 스피드 |
High 스피드에서 연속 동작 한다. |
세이프티 기능
• |
만약 감지 영역에 얼음 또는 이물질이 있을 때, 레인 센서는 정확한 작동 조건을 인지 할 수 없다. |
특수조건의 감지
레인센서 |
특수 조건 |
특수 조건 감지에 따른 작동 |
Splash |
레인 센서가 Direct 또는 간헐 모드에서 높은 젖음 정도(Splash)를 감지 한다면, 시스템은 Park 위치에서 High 스피드로 전환되고, High에서 한 번의 와이핑 후에 Low에서 한 번의 와이핑이 뒤따라 이루어진다. 와이핑 후 빗물의 상태가 변하지 않으면, 원래의 상태(Direct or 간헐)로 되돌아 온다. |
Smearing |
Smear는 약간 빠르게 건조된 엷은 유막으로 더럽거나 노후된 와이퍼 블레이드가 약간의 빗방울에 대하여 와이핑 할 때 발생 한다. Direct 또는 간헐 모드에서 Smear가 발생했을 때 동작 신호를 주어서는 안 된다. |
Dirt |
와이핑 후 어떠한 변화도 감지할 수 없을 때 Dirty windshield를 인식하여 통합 형 레인 센서는 동작 신호를 주어서는 안 된다. 만약 원드 쉴드가 깨끗해 진다면(예, 워셔에 의해), 레인 센서는 정상 상태로 돌아 온다, |
밤/낮의 자동 감도 전환 |
Day & night 센서에 의해 레인 센서는 밤과 낮에 따라 민감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. |
주변 조도의 보정 |
주변 조도의 간섭에 대해 비정상적인 작동을 하지 않는다. |
워셔 기능 |
레인 센서는 워셔 모드 중 워셔액에 대하여 반응하지 않는다. 즉, 워셔액으로 인하여 와이핑 속도가 변화 되지 않는다.(워셔 펌프의 자동 작동은 통합 형 레인 센서 기능에 포함 되지 않는다.) |
개요 |
후측방 경보 시스템은 리어 범퍼에 레이더 센서 2개가 장착되어 전파 레이더를 이용하여 후행 차량과의 거리 및 속도를 측정하여 주행중 후측방 사각 지역 장애물 감지 및 경보(시각, 촉각, 청각)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.
– |
후측방경보시스템(BSD, Blind Spot Detection) : 후방 사각 지역에 있는 다른 차량을 감지해 사이드 미러 경고 표시를 통해 운전자에게 경고를 한다. |
– |
차선 변경 보조 시스템(LCA, Lane Change Assist) : 차량 양쪽의 후측방에 고속으로 접근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경보 한다. |
– |
후측방 접근경보 시스템 (RCTA) : 자차를 후진시 후방 측면에서 접근하는 대상차량에 대해서 경보를 발생한다. |
시스템 동작 모드
1. |
스위치 Off상태에서 시동을 걸면 OFF 모드 |
2. |
OFF 모드에서 ON 스위치를 누르면 패시브 모드 |
3. |
스위치 ON 상태에서 시동을 걸면 패시브 모드
|
4. |
BSD 스위치 ON 상태에서 시동을 걸거나, 또는 BSD 스위치 OFF상태에서 ON하면 도어 미러의 BSD 경고등이 약 2~3초간 점등한다.
이런 점등은 BSD 시스템이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려주기 위함이다. (단, 시스템이 페일 모드이면 위의 점등 기능 안됨) |
5. |
주행 중, 활성화 조건(차속, 곡률 반경)을 만족하면 액티브 모드 (경고 발생) |
6. |
주행 중, 활성화 조건(차속, 곡률 반경)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경고 패시브 모드 (경고 해제) |
7. |
어떤 모드에서도 BSD & LCA 동작 이상 발생 시 페일 모드 |
8. |
페일모드에서 고장 해제시 고장 이전상태로 복귀
|
9. |
BSD & LCA 기능 동작(액티브/ 패시브 모드) 중, OFF 스위치를 누르면 OFF 모드로 이동 |
경보 조건
1. |
경보 영역
|
2. |
BSD 경보 ON 조건
![]() ![]() ![]() ![]() |
3. |
BSD 경보 OFF 조건
![]() ![]() ![]() ![]() |
4. |
LCA 경보 ON 조건
![]() ![]() ![]() ![]() ![]() |
5. |
LCA 경보 OFF 조건
![]() ![]() ![]() ![]() |
6. |
센서 활성화 조건
![]() ![]() ![]() ![]() ("-" 표시는 선행 차량을 추월한 경우) |
7. |
센서 비활성화 조건
![]() ![]() ![]() ![]() ("-" 표시는 선행 차량을 추월한 경우) |
8. |
시스템 제어금지
![]()
![]() ![]() ![]()
|
9. |
후측방 접근 경보 시스템 (RCTA : Rear Cross Traffic Alert)
![]() ![]()
![]() |
개요 |
운전자 자신이 설정한 최적의 시트 위치를 IMS 스위치 조작에 의하여 파워시트 유닛에 기억시켜 시트의 위치가 변해도 IMS 스위치로 자신이 설정한 시트의 위치에 재생시킬 수 있다.
안전상 주행시의 재생동작은 금지하고 재생 및 연동 동작을 긴급 정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.
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.
1. |
수동 동작: 시트 수동 스위치에 의한 모터 제어
|
2. |
메모리 기능 : IMS 스위치에 의해 2명분까지 기억/재생이 가능
|
3. |
승하차 연동 동작
|
작동원리 |
재생동작
1. |
DDM으로 부터 재생 CAN 데이타를 수신한 경우 버저를 1회 출력함과 동시에 기억되어있는 위치로 자동 조정된다. |
2. |
기억되지 않는 재생 CAN 데이타는 재생 동작은 행하지 않는다. |
3. |
재생 동작 중에 다른 재생 CAN 데이타를 수신한 경우 최후에 수신된 재생 CAN 데이타를 우선하여 재생 동작을 한다. |
4. |
재생 동작중에 1 혹은 2 버튼을 눌러서 재생 CAN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, 시트는 재생 동작을 정지한다. |
5. |
재생 동작중에 SET 버튼을 눌러서 메모리 CAN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, 시트는 재생 동작을 정지한다.
|
6. |
재생 동작 중 리마트 스위치 OFF시 자동 정지. |
7. |
재생 동작 시 기억위치 와 현재위치의 차가 4펄스 이하 인 경우 모터를 동작 시키지 말 것. |
재생 금지조건
아래의 조건 중에 하나라도 성립할 경우는 재생동작을 금지하고 재생 동작 중에는 제어를 중지한다.
1. |
IGN2 OFF (도어 오픈 상태 또는 도어 닫힌 후 30초 이내인 경우 제외) |
2. |
차속 3km/h이상 |
3. |
수동 스위치의 조작이 있을 경우 |
4. |
동작 타임 차트
|
구동 우선순위 판정
1. |
모터의 구동시에 돌입전류가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 제어의 경우에는 모터 기동은 각각 100±10msec동안 기동시간을 지연시키며, 그 때의 우선 순위는 다음과 같다
슬라이드 > 등받이 조절 >앞높낮이 조절 >뒷 높낮이 조절 > 쿠션익스텐션 조절
동작 타임 차트
|
승하차 연동 동작
1. |
하차 시 후방으로 후퇴 및 승차 시 전방으로의 복귀동작 (슬라이드만 해당) |
2. |
운전석 파워윈도우 스위치(DDM)에서 송신하는 자동 SET 메시지가 ON 상태인 경우에만 가능.
|
3. |
시동Off 및 운전석 도어 오픈시 작동 시작. |
4. |
ACC ON 목표위치로 이동. |
5. |
동작 금지 조건
|
핀 번호 |
커넥터 A |
커넥터 B |
커넥터 C |
커넥터 D |
1 |
- |
B+ |
- |
- |
2 |
전방 틸트 모터(업) |
GND |
- |
시트 리어 높낮이 센서 |
3 |
후방 높낮이 모터(업) |
B+ |
슬라이드 스위치 신호(전방) |
- |
4 |
등받이 모터(전방) |
- |
등받이 스위치 신호(전방) |
C CAN(하이) |
5 |
슬라이드 모터(전방) |
GND |
전방 틸트 스위치 신호(업) |
C CAN(로우) |
6 |
- |
|
후방 높낮이 스위치 신호(업) |
- |
7 |
전방 틸트 모터(다운) |
시트 슬라이드 센서 |
IGN 1 | |
8 |
- |
등받이 리클라인 센서 |
B+ | |
9 |
- |
시트 전방 높낮이 센서 |
GND | |
10 |
후방 높낮이 모터(다운) |
시트 포지션 센서 전원 |
- | |
11 |
등받이 모터(후방) |
- |
IMS 스위치1 | |
12 |
슬라이드 모터(후방) |
- |
IMS 스위치2 | |
13 |
|
슬라이드 스위치 신호(후방) |
- | |
14 |
등받이 스위치 신호(후방) |
SET 스위치 | ||
15 |
전방 틸트 스위치 신호(다운) |
- | ||
16 |
후방 높낮이 스위치 신호(다운) |
- | ||
17 |
- |
| ||
18 |
- | |||
19 |
- | |||
20 |
- |